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남미는 지난 2000년대 초반 좌파 정권이 들어섰다, 결국 실패하고 말았죠. <br> <br>그러나 우파 정권도 답이 되진 못했습니다.<br> <br> 팬데믹이 부른 경제 양극화가 ‘분홍색’으로 상징되는 좌파 정권 열풍을 다시 불러냈습니다. <br><br>브라질에서 룰라 전 대통령이 12년 만에 재집권하면서 정점을 찍었는데요.<br> <br>그럼 이제 국제정세는 또 어떻게 바뀌는 걸까요. <br><br>세계를 보다 권갑구 기자가 예측합니다. <br> <br>[기자]<br>고속도로 상하행선 모두를 긴 트럭들이 틀어막았습니다. <br> <br>도로 위에는 불붙은 타이어가 내뿜은 시커먼 연기가 가득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룰라, 도둑아! 넌 감옥 가야 돼!" <br> <br>현지시각 지난달 30일 치러진 결선 투표에서 보우소나루 대통령을 룰라 전 대통령이 1.8% 포인트 차로 따돌리며 12년 만에 재집권에 성공한 직후 대선 불복 시위가 번졌습니다. <br><br>[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/ 브라질 대통령 당선인] <br>"함께 나아갑시다. 이 나라에서 웃을 수 있는 권리를 되찾을 겁니다." <br> <br>극심한 분열 양상에 내란 가능성까지 거론됐지만,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권력 이양 선언으로 차츰 진정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[자이르 보우소나루 / 브라질 대통령] <br>"여러분만큼 저도 슬프고 속상합니다. 하지만 우리는 이성적인 판단을 해야 합니다." <br> <br>2018년 멕시코를 시작으로 아르헨티나, 페루, 칠레에 '중남미 우파의 보루'였던 콜롬비아, 그리고 국내총생산(GDP) 세계 12위이자, 중남미 최대국인 브라질까지.<br><br>중남미 경제 규모 상위 6개국 모두에 좌파 정권이 들어섰습니다. <br> <br>사회주의 국가들을 상징하는 극단적인 '레드'보다는 온건한 좌파를 표방하는 '핑크 타이드', 즉, 분홍 물결이 시작된 겁니다.<br> <br>1998년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 당선 이후 2010년대 초반까지 남미 12개국 중 10개국에서 좌파 정부가 들어섰던 1차 핑크 타이드가 경제위기와 부패 등으로 막을 내린 지 10여 년 만에 시즌 2를 맞은 셈입니다.<br> <br>코로나19 사태 방역 대처 미흡, 그로 인한 경제난과 양극화 가중 등이 기존 우파 정권의 패배 요인이 됐습니다.<br><br>전문가들은 핑크 타이드 재확산으로 중남미 지역 내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 위기 속에 집권한 중남미 좌파 정권들이 투자 큰손 격인 중국에 대한 밀착도를 높여갈 것이란 전망입니다. <br> <br>신흥도상국 '브릭스'의 일원인 중국은 지난해 브라질에 사상 최대인 8조 원의 투자를 결정할 정도로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은 룰라의 재집권으로 브라질 외교의 우선 순위가 미국이 아닌 중국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> <br>[이승호 /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] <br>"중국이 해외 직접 투자를 중남미 자원부국을 중심으로 많이 하고, 미국을 배제한 지역 기구에 굉장히 활발하게 참여하고. 중국의 영향력이 중남미에서 굉장히 커지고 (있습니다.)" <br> <br>패권 경쟁자, 중국을 인도·태평양권에 묶어두려 했던 미국의 구상에도 차질이 생겼습니다.<br> 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보다 먼저 룰라 대통령에 축전을 보내는 등 뒷마당을 지키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